2월 초, 입춘이 지났습니다.
보통은 온도가 올라가고, 겨울에서 슬슬 봄으로 넘어가야 하는 시기인데요.
그런데도 지역에 따라 영하 20도까지 떨어지거나, 눈이 오는 등 한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블로킹 현상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블로킹 현상이 무엇일까요?
아래에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블로킹(Blocking) 현상은 대기 흐름이 정체되면서 특정 지역에 같은 날씨가 장기간 지속되는 기상 현상을 말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찬 공기가 오랫동안 머물러 강추위가 계속되는 원인이 됩니다.
블로킹 현상
일반적으로 대기의 흐름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지만, 때때로 강한 고기압이 형성되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아버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때 '블로킹 고기압'이 형성되어 특정 지역에서 기온이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은 상태가 며칠에서 몇 주까지 지속됩니다.
블로킹 현상이 추위에 미치는 영향
겨울철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면 시베리아 고기압이나 북극 한파가 이동하지 못하고 특정 지역에 오래 머무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극심한 한파가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1. 시베리아 고기압 강화
- 시베리아 지역에서 형성된 강한 찬 공기가 한반도로 내려오지만, 블로킹 고기압에 의해 정체되면서 장기간 머무르게 됩니다.
-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한파와 강추위가 발생합니다.
2. 북극 한파 남하
- 북극 상공의 찬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와야 하지만, 블로킹 현상으로 인해 특정 지역에 갇히면서 한파가 오래 지속됩니다.
- 유럽, 북미, 동아시아에서 혹독한 추위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3. 한랭 저기압의 정체
- 차가운 저기압이 이동하지 못하고 같은 지역에 머물러 눈 폭풍과 강풍을 동반한 한파를 유발합니다.
- 미국 동부, 유럽 등에서 겨울철 폭설과 강추위를 가져오는 주요 원인입니다.
블로킹 현상 사례
📌 2018년 유럽 한파
- 2018년 2~3월, 블로킹 현상으로 인해 시베리아에서 유럽까지 찬 공기가 계속 정체되면서 극심한 한파가 발생했습니다.
- ‘시베리아 야수(Beast from the East)’라고 불릴 정도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지속되었습니다.
📌 2021년 한반도 강추위
- 2021년 1월, 블로킹 현상으로 인해 시베리아 고기압이 한반도 상공에 정체되면서 최저기온이 -20도 이하로 떨어지는 한파가 며칠간 지속되었습니다.
- 서울에서 -18.6℃를 기록하며 역대급 강추위를 경험했습니다.
📌 2021년 미국 텍사스 한파
- 북극 한파가 블로킹 현상으로 인해 정체되면서, 평소 따뜻한 텍사스에서 기록적인 한파가 발생했습니다.
-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는 등 큰 피해를 남겼습니다.
블로킹 현상 원인
블로킹 현상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제트기류의 약화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북극과 적도 간 온도 차이가 줄어들면서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구불구불해지면서 블로킹이 자주 발생합니다.
✔ 지형적인 요인
유럽, 북미, 동아시아 등에서는 산맥과 해양의 영향으로 특정 지역에서 블로킹이 쉽게 형성됩니다.
✔ 이상 기후 변화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블로킹 현상이 더 빈번하고 강력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블로킹 현상은 겨울철 강추위를 장기간 지속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앞으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기상 예보를 주의 깊게 살피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